본문 바로가기

실시간 경제

카카오톡 채널 관리자 애플리케이션 설치

우선 카카오톡 채널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겠죠? 플레이 스토어에서 검색하셔서 설치를 해주세요.

카카오톡채널 관리자 센터를 실행한 처음 화면입니다. 기존 카카오톡 계정이 있다면 카카오톡 시작하기를 통해서 바로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채널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새 채널 만들기를 터치해 주세요.

채널을 개설하는 화면입니다. 채널 이름과 검색용 아이디, 카테고리를 입력합니다. 검색용 아이디는 나중에 카카오톡에서 친구로 추가할 때 필요하기 때문에 잘 기억해고 있어야 합니다.

저는 테스트라는 채널 이름으로 새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채널을 만드셨다면 채널이 카카오톡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허용을 해주셔야 합니다. 관리에 들어가주세요.

관리 항목으로 들어간 화면입니다. 제일 상단의 홈 정보 설정을 터치해주세요.

홈 정보 설정으로 들어가시면 채널 이름과 검색용 아이디, 홈 URL 등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화면을 밑으로 내리셔서 공개 설정에 보시면 홈 공개와 검색 허용이 보이실 텐데요. 아마 처음 채널을 만들었을 때는 OFF로 되어있을 텐데요. ON으로 바꿔줍니다.

검색을 허용한 다음에는 이제 카카오톡에서 채널이 검색될 텐데요. 그전에 간단하게 채팅 설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채팅에 들어가시면 우측 상단에 점 세 개 버튼이 보입니다. 터치하신 다음에 설정으로 들어가 주세요.

설정에서는 1:1채팅 설정을 할 수가 있습니다. 우선 채팅 사용이 ON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하시고요. 채팅 가능 요일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요일에만 채팅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밑에 보시면 채팅 가능한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요. 채팅 가능한 시간을 설정하시면 그 외 시간에 채팅이 들어오면 자동으로 설정된 메시지가 상대편에게 안내가 됩니다.

기본 메시지를 선택하게 되면 위 사진처럼 채팅 가능한 시간이 아닐 때는 자동으로 기본 메시지가 상대편에게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기본 메시지가 마음에 안 드신다면 직접 메시지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직접 입력을 선택하시면 자기가 직접 적은 메시지가 상대편에게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자 이제 실제로 카카오톡으로 채팅이 가능한지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보통 카카오톡에서 대화 상대를 검색하거나 추가할 때는 친구 추가에서 QR코드나 연락처, ID로 검색을 하실 텐데요. 여기서 중요한 점은 카카오톡채널 관리자로 만든 아이디는 여기서 검색이 안됩니다.

그러면 어떻게 친구로 추가하느냐. 친구 추가 옆에 보시면 돋보기 모양의 검색 버튼이 보이실 텐데요. 바로 검색창에서 채널 아이디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검색창에 들어가셔서 처음에 채널을 만들 때 입력한 아이디를 적으면 위 사진처럼 채널이 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터치하셔서 추가를 해주세요.

자, 그러면 위 사진처럼 일반적으로 카카오톡으로 대화할 때와 똑같이 채팅이 가능해집니다.

재미있는 부분은 카카오채널 관리자와의 채팅이지만 상대편이 확인하지 않으면 대화창에 숫자 1 모양이 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보시면 채팅을 적을 때 상담직원에게 메시지 보내기라는 글자가 계속해서 투명하게 보여서 일반적인 카카오톡 친구와 대화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톡의 이모티콘 사용도 안 됩니다.

그리고 + 버튼을 통해서 할 수 있는 추가 기능도 앨범, 카메라, 캐처, 음성메시지 4개뿐입니다.

카카오톡 채널 관리자 센터를 이용하면 두 개의 카카오톡 아이디를 이용할 수 있지만, 채널로 만든 아이디는 확실히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말로 업무적인 관계의 사람과 채팅을 해야 할 때 이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사업이나 업무 때문에 다수의 사람과 상담을 해야 할 때 이용하면 편리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